부트캠프/회고

[TIL] 프로그래머스 프론트엔드 데브코스 DAY3 TIL

Junly_21 2023. 9. 22. 14:07

오늘 공부한 내용 📖

1. 브라우저 렌더링 원리 (www.naver.com을 입력 시 일어나는 일)

2. 컴퓨터 시간 원리

3. 이벤트 루프

4. 유니코드와 정규표현식

5. 쿠키, 세션, 웹스토리지

6. 깃 포크 후 브랜치 생성, 작업 후 PR

 

 

어려웠던 내용😵

깃 오리진 레포 최신화 pull후 내 레포에서 작업하고 push 후 PR 생성하고 받는 것. 

정규표현식이 기억이 안났다...

 

 

궁금한 내용/부족한 내용🤔

함수형 프로그래밍, 객체지향과 프로토타입, 모듈 개념이 추상적이라 잘 와닿지 않는다.
브라우저 렌더링 원리 술술 말하려면 좀 더 노력이 필요해보임

 

 

느낀점✍

깃은 버전관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고 하는데 아직 사용에 있어서 많이 미숙하다.

오리진 레포를 작업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1. 포크를 따온다.
2. 포크해온 레포지토리를 git clone을 통해 로컬에 가져온다.

3. git add orgin로 내 레포와 오리진 레포를 연결한다.

4. git remote -v를 통해 제대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위 과정을 모두 거쳐야 작업을 시작할 수 있고 매 작업마다


1. 작업 전 fetch와 pull을 통해 오리진 레포와의 동기화를 한다.
2. 내 레포, 내 브랜치에서 작업을 한다
3. 작업 내용을 push하고 create pull request를 진행한다.

4. 오리진 레포에서 pr을 수락한다.

위 과정을 거쳐 작업해야한다.

 

이 부분도 아직 익숙지 않은데 이후 conflict도 해결해봐야 할 것이고... 공부한다고 된다기 보다는 하면서 는다는 말이 딱 깃에 해당되는 것 같다.

 

강의 중 정규표현식과 브라우저 렌더링 원리가 있었는데, 이 부분들은 공부를 했던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기억이 잘 안났다. 다만 강의를 진행해주시는 리더님 께서 '실제로 개발자들이 이를 모두 기억하고 있는건 어렵다'는 말씀을 해주셔서 그나마 위안이 되었다..

그래도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은 한번 정리를 해야할 것 같다.

그리고 함수형 프로그래밍, 객체지향과 프로토타입, 모듈 개념은 당장 체화가 안되는 개념인 것 같다. 좀 천천히 접근해야할 것 같다. 😵